대한불교조계종 선본사

대한불교조계종 선본사


선본사 갓바위 부처님과 약사신앙

신자(臣子)가 정성을 쌓으매 구하는 것은 꼭 이루어질 것이며, 부처와 천신께서 약을 주시니 병이 낫지 않음이 없으리다.
이에 붉은 정성을 다하여 가만히 도우심을 바라나이다.


엎드려 생각하옵건대, 태상왕께서 해가 바뀔 때부터 병에 시달리셨다가, 저번에 하늘의 도우심을 받아 잠시 차도가 있었습니다. 건강해질 희망이 있다 하여 놀라운 기쁨이 평시보다 배가 더하였었는데, 나았다 더했다 서로 뒤치니, 두려워서 어쩔 줄을 모르겠나이다. 중생들의 생각은 대개 질병만을 걱정하나이다. 장년(壯年)의 때라도 오히려 위태롭고, 하루를 넘어도 벌써 괴로운데, 하물며 70세의 노쇠기에 다 석 달이 넘는 오랜 병이겠습니까. 좋은 의술이 없음을 탄식하고, 부처님의 함께 의탁하려 합니다.


갓바위부처님
듣자오니 석가모니께서 경을 설하실 때에 특별히 약사여래의 발원이 깊은 것을 말씀하시되, "맹세코 병고에 신음하는 이를 구제하려고 손바닥에 바리를 들고 다닌다." 하였으니, 부처께서 어찌 헛말을 하시겠씁니까. 내가 이에 징험(懲驗)합니다. 이에 스님들을 모아 법회의 자리를 베풉니다. 천명의 합장 정진으로 백억 신(身) 부처님의 돌보심을 얻고자 합니다.
엎드려 원하옵건대, 부처님께서 태상왕이 여러 해 동안 귀의한 간절함을 어여삐 여기시고, 소인이 한 마음으로 기도하는 정성을 생각하시와 큰 자비를 내리어 본래의 서원을 어지기 않으시와, 우리 태상왕으로 하여금 몸이 경쾌하고 기운이 순하여서 모든 병의 뿌리를 갑자기 녹여 없애며, 음식이 맛있고 잠이 편안하여 길이 만년의 수명을 누리게 해 주시옵소서.
-「동문선(東文選)」제113권.
<정릉행태상왕구병약사정근소(貞陵行太上王救病藥師精勤梳)>
조선초기의 대학자 변계랑(卞季良,1369~1430)이 쓴 <정릉에서 태상왕의 병을 구하고자 약사 정근을 거행하는 글>의 내용이다. 숭유억불을 국가의 기본 시책으로 내세운 조선 왕조에서 약사불에게 국왕의 치병과 장수를 기원하는 애틋한 글이다. 유학으로 무장하고 불교를 등한시했던 당시 사람들에게도 약사불은 치병을 위한 귀의의 대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약사불은 동방의 정유리세계(淨流璃世界)에 머물며 중생의 질병고를 치료하는 대의왕불(大醫王佛)이다. 이 부처님은 12가지 커다란 원을 세워 중생들의 온갖 고통을 소멸시킬 것을 맹세하였는데, 특히 중생의 질병에 가장 큰 주안점을 두었다.12가지 대원 가운데는 일체 중생으로 하여금 대승(大乘)의 가르침에 편안히 머물게 하거나 폭군의 악정에서 벗어나 사회적 부조리나 강도(强盜) 등의 해악을 면하게 하고, 기아(飢餓)에서 벗어나게 한다는 등의 다양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여러 발원과 역할은 대승불교의 불보살들에게서 보편적으로 찾아 볼 수 있다. 그러나 여섯 번째의 '일체의 신체장애자로 하여금 그 장애가 완전히 회복되도록 하는 서원'과 일곱 번째의 '온갖 질병을 다 없애고 몸과 마음이 안락하여 위없는 깨달음을 이루도록 하는 서원'이 약사불을 대표하고, 또 이기능이 생로병사에 시달리는 중생들에게 가장 매력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이러한 약사신앙이 우리나라에서는 일찍부터 유행하고 있었다. 앞에서 살펴본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전하는 밀본법사(密本法師)의 영험담과 함께 다음과 같은 김양도에 관한 일화는 신라 시대의 약사신앙을 잘 보여준다. 승상(丞相) 김양도(金良圖)가 어릴 때였는데, 어느날 갑자기 입이 붙어버리고 몸이 뻣뻣해지더니 말도 못하고 몸도 움직이지도 못하게 되었다. 집안 식구들은 귀한 아들이 석상처럼 굳어진 데 놀라서 야단법석이었다. 그런데 김양도가 가만히 보니 큰 귀신 하나가 작은 부하 귀신들을 거느리고 집안으로 들어와서는음식이란 음식은 다 맛을 보는 게 아닌가. 또 푸닥거리를 하러 온 무당이 굿을 할라치면 귀신들이 우르르 몰려 들어 욕을 해대는 통에 무당들도 쫓기듯 가버리는 것이었다. 김양도가 이런 사실을 알리고 싶어도 입이 붙어 말을 할 수가 없으니 답답할 뿐이었다. 김양도의 아버지는 무당굿을 해도 소용이 없자 이번에는 법륜사의 스님을 초청해서 불경을 읽어 달라고 부탁을 했다. 스님이 경을 읽기 시작하자마자 곧 큰 귀신이 나타나 부하 귀신들에게 쇠방망이로 스님의 머리를 내리치게 하였다. 쇠방망이를 맞은 스님은 피를 토하여 죽고 말았다. 김양도의 아버지는 집에 큰 귀신이 붙은 것을 알고 비로소 밀본법사에게 부탁하기로 했다. 사람을 보내 청했더니 곧 오겠다는 전갈이 왔다. 밀본이 오기로했다는 말을 들은 귀신들은 아연질색했다. 부하 귀신들은 겁에 질려 수군거렸다. "밀본법사가 오면 우리가 불리할텐데 지금이라도 빨리 피하는게 좋지 않을까?" 그러자 큰 귀신이 눈을 부라리며 윽박질렀다. "밀본이라는 자가 도대체 뭔데 너희들은 그렇게 안절부절 못하느냐? 제 아무리 신통력이 있다해도 내 앞에서는 어림없다." 귀신들이 옥신각신하고 있을 때였다. 갑자기 사방에서 갑옷을 입고 한 손에는 긴 창을 꼬나잡은 대역신(大力神) 여럿이 나타나더니 귀신들을 붙잡아 꽁꽁 묶어 버렸다. 그 뒤를 이어 수많은 천신들이 나와서 공손히 두 손을 모으고 물러서서 기다리는데 마침내 밀본법사가 도착했다. 김양도는 그 자리에서 병이 나아 붙었던 입이 열리고 굳었던 몸이 풀렸다. 김양도가 그 동안 자기가 본 일을 낱낱이 얘기하자 모두들 놀라며 새삼스럽게 밀본을 우러러 보게 되었다. 이 일을 계기로 김양도는 독실한 불교 신자가 되어 흥륜사에 미륵상과 좌우보살상을 만들고 금색 벽화를 그려넣는 등 일생 동안 부처님 받들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위와 같은 신비한 영험담은 신라시대의 밀교를 살피는데 있어 중요한 기사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그 자체로 약사신앙의 위신력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기도 하다. 인간의 삶에서 생로병사는 가장 근원적인 고통의 하나이다. 그것은 또한 석가모니가 세속의 쾌락과 부귀영화를 마다하고 출가한 근본 이유이기도 하다. 생로병사 가운데서도 특히 질병은 사람의 생활을 피폐하게 만들고 고통이 뒤따라 늘 질병의 예방과 치료는 가장 큰 근심거리가 되곤 한다. 그렇기때문에 일찍이 원시 사회로부터 질병을 퇴치하는 주술(呪術)신앙이 번성하였고, 이를 담당하는 주술사는 보통의 사람들과는 다른 특별한 권능을 지닌 존재로 인식되었다. 고대 국가가 성립하면서 국가를 대표하는 인물들 가운데는 이 주술사 출신들도 적지 않았다. 그만큼 지령의 치료는 시대를 막론하고 중시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불교가 우리 나라에 수용되면서 재래의 주술 신앙은 이제 불교 속으로 동화되었고, 약사신앙은 치병을 기원하는 사람들에게서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 위에서 본 밀본법사와 김양도에 관한 이야기는 약사신앙의 효용성이 널리 신라 사회에 자리잡았음을 말한다. 또한 신앙의 번성과 함께 약사불의 조성이 뒤따라 오늘날까지 상당수 남아 있는데, 그 가운데 동화사(桐華寺)입구 마애약사여래좌상을 비롯하여 경주의 백률사(柏栗寺) 금동약사불입상, 남상 용장계곡 석조약사불좌상, 삼릉계곡 석조약사불좌상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불상의 모습은 대개 왼손에 약그릇[藥盒]을 받쳐들고 오른손은 가지런히 펴 땅을 가리키거나 두려움 없는자세[施無畏印]를 취한다. 약사신앙이 번성하던 삼국 및 통일신라 때의 약사불상은 약그릇을 간략하게 나타낸 둥근 구슬 모양의 보주(寶珠)를 들기도 하였다. 한편 사방불(四方佛)이라 하여 사각형의 바위 각 면에 불상을 새겨 방위불(方位佛)을 상징하는 형식도 유행하였는데, 동방에 약사불을 조성하여 약사신앙이 널리 대중화되기도하였다. 굴불사지(窟佛寺地) 사면불과 경주 남산 칠불암(七佛庵) 사면불의 약사불은 그 대표적 예이다.
이 밖에도 약사불의 조성은 작은 불상으로도 많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선남선녀가 약사여래상을 조석으로 모시면서 꽃을 올리고 향을 사르면 장수하게 됨은 물론 부귀를 얻는다는 「약사경」에서 유래한다.
고려시대에도 약사신앙은 널리 유행하였다. 특히 잦은 국가적 위기를 맞으면서 이를 불력으로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기원도량이 개설되었는데 약사도량 역시 국난 극복의 민심을 모으는 데 기여하였다. 이는 약사불의 명호를 외우면 국가의 재난이 소멸된다는 약사불의 본원에 근거를 둔 것이다. 한 나라에 질병이 유행하거나 외적의 침입등 재난이 있을 때에는 국왕이 솔선하여 약사도량을 베풀면 국토가 평안해진다고 한다. 첫머리에서 말했듯 이러한 흐름은 조선시대에도 이어져 상당수의 약사 탱화가 조성되었고, 불교가 민간화되면서 하나의 민중 신앙으로서 자리매김해 나갔다.
오늘날 큰 사찰의 대부분에는 약사전이 위치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라도 반드시 약사불을 봉안하여 지성을 다한다. 세월이 흘러도 변함없이 약사신앙의 대중적 호응은 높아만 가고 있다.
팔공산 갓바위 부처님은 이러한 역사적 연원을 지닌 약사신앙의 성지(聖地)라고 할만하다. 대개 우리 나라의 불교 신앙에서 가장 널리 번성한 것은 관음신앙이라고 한다. 그래서인지 관음신앙의 성지는 전국 곳곳에 걸쳐 있다. 그러나 약사신앙의 성지라고 이름을 붙일 만한 곳은 흔치않고 또 이 때문에 이 곳 갓바위 부처님이 더욱 소중한 의미를 지녔는지도 모르겠다.
전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850M에 달하는 이곳 관봉의 약사불을 친견하러 온다. 제각기 무병장수를 기원하고, 또 약사신앙의 본질과는 거리가 먼 개인적 소망을 빌기도 한다. 엄밀한 신앙의 입장에서야 아미타불에게 극락왕생을 발원하고, 관음보살에게 자비심을 구하고, 또 약사불에게는 치병을 기원해야 하겠지만 무명을 떨치지 못한 중생들에게는 그저 모든부처님이 모든 서원(誓願)의 대상이 된다. 그래서인지 모든 부처와 보살님들은 중생들의 바람을 내 담당이 아니라고해서 내치는 일은 없다. 갓바위 부처님도 마찬가지다. 정성껏 기원하는 사람들 모두에게 꼭 한 가지 소원만은 이루어 주신다는 이야기가 그래서 생겼다.
신라 때 조성된 이래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 곳에 올라 소원을 빌고 뜻을 얻어갔는지 헤아릴 수야 없다. 또 아쉽게도 약사불에 관련된 영험담이 활자로 전하지 않아 여기에 소개할 수는 없지만, 그러나 갓바위 부처님이 그저 그 곳에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많은 이들에게 위안과 안식을 주는 것은 사실이다.
동방의 유리광세계(溜璃光世界)에서 세상을 환히 밝혀주는 약사불이 이곳 팔공산 자락에서 부드러운 미소로 중생의 온갖 고난을 어루만지는 듯 하다. 그래서 오늘도 선본사의 갓바위 부처님을 찾는 많은 중생들은 약사불의 위신력에 감화를 얻고 기쁜 마음을 안고 돌아간다.

(38400) 경북 경산시 와촌면 갓바위로 699종무소(극락전) 053-851-1868
중단 종무소(대웅전) 053-853-9877상단 접수처(갓바위부처님전) 053-851-1869
Copyright ⓒ 2022 seonbonsa.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