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선본사

대한불교조계종 선본사


한국의 약사신앙

한국에 불교가 전래되어 국가적으로 공인된 최초의 기록은 고구려 소수림왕 2년(372)의 일이다.

이어서 백제 침류왕 원년(384)과 신라 법흥왕 14년(527)에 잇달아 불교가 공인되어 고구려 백제 신라 삼국이 모두 국가적으로 불교를 인정하게 되었다.
이후 삼국의 불교는 급속도로 발전하여 신라의 불교가 들어온 지 채 100년이 넘기전에 이미 우리 나라 불교의 학문적 수준이 중국을 넘어서게 될 정도였으며, 7세기 중엽을 지나면서부터는 우리나라의 스님들이 중국불교에 적지않은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불교학의 발달과 마찬가지로 삼국 시대 불교 신앙의 모습도 변해갔다.


한국의 약사신앙
초기에는 국가 중심적인 구복신앙이 주류를 이루게 되고, 중기 이후에는 국가적 상황과 이름난 스님들의 교화 영향에 따라 현실구복과 내세왕생, 국태민안을 주로 하는 관음.정통.미륵신앙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 가운데 관음 신앙은 당시의 일부 스님들의 신행 기록이 뚜렷이 남아 전해지고 있다. 의상대사의 낙산사(落山寺) 창건 설화는 관음신앙의 대표적인 예가 될 것이다.
그리고 미타정토신앙은 삼국 시대 중기의 대표적인 신앙으로 미륵신앙과 함께 유행하여 민간에도 널리 퍼졌음을 알 수 있다. 미타신앙에 대해서는 「삼국유사(三國遺事)」에 나타나 있는 몇가지 기록들이 그 전거(典據)가 된다. 대표적인 것은 원효대사의 제자 가운데 한 사람인 장엄스님이 원효대사에게 수행법을 배워 정토에 왕생하였다는 것과 원효스님이 머리를 기르고 마을을 다니면서 사람들에게 '나무아미타불'을 부르게 하였다는 것으로 유명하다.
또한 신라의 미륵신앙은 통일국가를 이루려는 신라 국민 모두의 바람을 미륵 부처님의 가피로 이루려는 것이었다. 곧 자장율사가 경주 황룡사에 금동으로 장육존상을 조성하여 모시고 한편으로는 구층탑을 세워서 통일국가의 민족적 염원을 미륵부처님의 가피로 이루려 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신라 국민들과 왕실의 노력으로 통일을 이룬 신라의 불교 신앙은 그 형태에 있어서 새로운 변화가 일어났다. 그것이 다름아닌 약사 신앙인 것이다.
8세기 이후에 나타나는 약사불의 조성은 당시 신라사회 민중들의 보편적인 신앙형태일 뿐만 아니라 국가 왕실의 중요한 신앙형태이기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신라의 약사 신앙은 선덕여왕 때 밀본(密本)이라는 스님이 「약사경」을 읽고 왕의 병을 고쳤다는 이야기를 통일 신라때 경주에 위치한 대표적인 사찰중의 하나인 분황사에 거대한 크기의 약사여래입상을 모신 것, 그리고 통일신라의 수도인 경주를 둘러싸고 있는 남산의 곳곳에서 발견되는 사방불과 약사여래입상, 또한 신라 왕실이나 장군의 무덤 주변에 새긴 12지신상의 지석(支石)등이 약사 신앙과 관계된 유적이다. 통일 신라의 약사 신앙은 앞에서 살펴본 「약사경」에 나타난 각종 형태의 신앙을 골고루 수용하였다. 약사유리광여래가 보살도를 행할 때 세운 12대원에 근거한 현실구복.제병.멸재의 신앙과 통일을 이룬 국가에서 더 이상 국난이 없을 것을 기원하는 호국신앙.정토신앙 등이 고루 포섭된 약사신앙이 통일신라의 형편에 꼭 들어맞았을 것이기때문이다.
그래서 위에서 열거한 신라 특유의 약사신앙 형태들이 남아 전하는 것이다.

(38400) 경북 경산시 와촌면 갓바위로 699종무소(극락전) 053-851-1868
중단 종무소(대웅전) 053-853-9877상단 접수처(갓바위부처님전) 053-851-1869
Copyright ⓒ 2022 seonbonsa. All rights reserved.
FAMILY SITE